논평 | 오늘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입니다
페이지 정보
DATE
20.08.14 21:00HIT
6,492관련링크
본문
오늘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입니다. '위안부'는 국가의 이름으로 시민에게 가해진 성폭력으로,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입니다. 국가에 의한 성폭력은 한국만의 문제도, 일본군 '위안부'만의 문제도 아님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국가 성폭력은 국가의 이름으로 자행하거나 지원하거나 묵과하는 성산업의 부분으로 작동하며, 민족주의 아래 애국의 일환으로 일어나곤 합니다.
군대 '위안'과 성병 관리를 축으로 삼은, 국가가 관리하는 체계로서의 근대 공창제는 19세기 이후 일본에도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광복 후 미군정 시기에 공창 폐지령이 내려졌으나, 독재정권 하에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국가의 이름으로, 애국의 이름으로, 기지촌 여성들은 '위안'의 '임무'를 부여받았습니다. 이후 성매매 산업은 한국 경제 부흥의 한 축으로 작동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성폭력은 애국의 이름으로, '자발성'과 '동의'라는 정치 아래, 성매매와 애매하고 유동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발생해왔습니다. 그리고 반세기가 넘는 지난 시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본이 우리 소녀들의 순결을 빼앗았다’는 국가주의 관점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피해자들의 다양한 맥락은 국가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대의명분’을 위해 국가간 이해관계에 따른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복합적인 권력의 작동과 다양한 이해관계에서 자행된 국가 폭력을 생각합니다. 그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내어 여성인권운동가로 활동하시다 떠난 분들, 여전히 목소리 내고 있는 분들을 생각합니다. 사과받지 못한 폭력, 여전히 보이지 않는 폭력, 복잡한 권력관계를 무시한 채 이용되는 미묘하고 때로는 교활한 자발성과 동의의 경계들, 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생각합니다. 여성과 국가에 대해 생각합니다.
잊히고 묻힌 목소리들을 기억하겠습니다. 왜 사과받지 못하는지, 왜 사과'하지' 못하는지, 왜 보이지 않는지 사유하고 파헤치는 일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국가의 이름으로 여성을 소유해 온 역사, 소유하려는 시도를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겠습니다.
2020.08.14.
페미니즘당(가칭)창당준비위원회